교사·공무원의 정치기본권 박탈은 오래된 적폐다. 박정희가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이듬해인 1962년에 교원, 공무원, 공기업 임원, 언론인의 정당 활동 자격을 제한했다. 교육과 행정을 장악하고 정권 비판을 통제하기 위해서였다.(대학 교수는 1980년에, 언론인은 1993년에 정치활동이허용됐다.) 4.19혁명 직후에 개정된 1960년 헌법에 포함된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제7조)은 이승만 정부에서 공무원을 동원한 조직적 선거 부정을 방지하고 공무원을…
문재인의 교육 공약에는 박근혜 교육 적폐 청산이 없다
박근혜는 신자유주의적 교육 개악을 밀어붙이기 위해 전교조를 법외노조로 탄압했다. 또, 교사 간 경쟁과 갈등을 심화시켜 교육을 통제하기 위해 도입된 성과급 등 교원평가제도를 악화시켰다. 나아가 교육복지 재정을 긴축하며 경제 위기의 고통을 평범한 사람들에게 전가했다. 누리과정 예산을 시도교육청에 책임을 떠넘겼고, 이는 학교 비정규직 대량 해고와 학교 현장의 예산을 실질적으로 삭감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박근혜가 구속됐다! 교육적폐를 청산하자! -4월 15일 교육주체결의대회로!
박근혜의 파면은 퇴진 운동의 승리이자 크나큰 기쁨이었다. 물론 우리는 박근혜 파면에서 멈출 수 없었다. 3월 25일 21차 촛불에서 압도적으로 지지받은 구호는 “박근혜를 구속하라”였다. 파면 이후에도 사그라지지 않는 대중 운동의 압력을 의식해 지난 3월 27일 검찰이 박근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중대한 법 위배 행위”(헌재 판결문)를 저지른 박근혜는 당장 구속돼야 한다. 세월호 참사…
박근혜 퇴진 운동과 전교조의 과제
박근혜가 취임한 지 만 4년이 되는 2월 25일, 박근혜와 우익들의 공세에 맞서 1백만 명이 촛불을 다시 들었다. 교사들은 앞서 박근혜 탄핵, 재벌총수 구속, 특검 연장을 요구하는 시국 성명서를 발표하고, 사전에 전국 교사결의대회를 개최해 법외노조 철회, 온전한 정치활동의 자유 쟁취, 입시경쟁체제 철폐 등을 외쳤다. 퇴진 운동이 지속되는 동안, 비선 실세 최순실만이…
박근혜 정권 퇴진할 때까지 퇴진 운동은 계속돼야 한다
지난해 12월 9일 박근혜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새누리당은 지지율 폭락과 함께 두 개로 쪼개졌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폭로 이후 두 달여 만에 연인원 1천만 명이 참가한 항의 시위의 결과였다. 여전히 거리 운동의 핵심 구호는 “박근혜 즉각 퇴진”이다. 박근혜는 정치적 코너에 몰려 있다. 그러나 결코 스스로 물러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